크래프톤 코스피 상장
크래프톤의 지난 매출은 1조 6700억에 영업이익 7739억 당기순이익 5563억원 기록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합니다. 이는 지난해 넥슨( 1조 1907억원) 에는 못미치고 엔씨(8248억)에 버금가는 수준이고 넷마블(2720억원)을 뛰어 넘었다,
최근에 이야기되는 크래프톤의 기업가치는 30조원에 공모주 청약 규모는 최소 3~4조원애 (상장 예정수식의 20%) 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최근 카카오게인즈, 빅히트엔터테이먼트(방탄소년단), 등의 공모주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주식시장이 뜨거운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상장하는것이 나을수 있다는 판단으로도 보입니다 국내 주식 시장 역시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어 내년 하반기 상장을 준비하는 업체들도 최근 일정을 당겨 내년 상반기 안에 준비하는 경우가 많은것으로 보입니다. 한가지 악영향은 근래에 인도에서 배틀그라운드 배그 모바일을 현지 유통하는 중국텐센트를 퇴출시켰습니다 하반기 실적에 악영향이 있을것으로 예상이 되는 부분입니다. 또한 중요한 포인트로 올 하반기 신작 엘리온의 흥행여부도 상장에 중요 변수가 될수도 있어 보입니다.
크래프톤의 차기작 "엘리온"
엘리온은 이상 세계로 가는 관물(엘리온)을 차지하기 위해 벌어지는 경쟁이 게임의 주제입니다 온라인 롤플레잉 게인이며 2017년부터 개발에 돌입했고 배틀그라운드 로스트아크에 이은 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합니다 엘리온이 크래프톤의 기업 가치에 얼마나 긍정적일지에 시뮬레이션 진행하고 있으며 엘리온이 시장에 빠르게 정착한다는 전제로 40조원의 이상으로 가치를 부여하는 ib도 있을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텐센트와 크래프톤
현재 크래프톤의 최대 주주는 장병규 의장입니다 의장은 크래프톤 지분의 17.4%(140만 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텐센트가 작년에 추가 매입들을 작업하며 장의장과의 격차를 1%대로 좁힌것으로 알려져있씁니다. 텐센트가 지분을 높이는 와중 장의장의 아내 정씨는 기존 지분 2.1(16만주) 중 1.1%를 단순 매도했으며 이 지분이 텐센트로 들어가 창업자 지배력이 약해지고 텐센트의 지배력이 높아진 모습입니다.
앞으로 쿠팡을 이어 야놀자, 마켓컬리, 배달의민족, 티몬등이 상장을 앞두고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